본문 바로가기

Artist

Kim Jeongbum

 

 

Kim Jeongbum's cyanidation escapes from the extension of tradition. Even though his cyanidation embrace the traditional patterns, it lies on the free expression, not bordering the East and the West. The traditional patterns are used as one pattern, mixing one and each other without border. It looks that the artist breakups them which contain various meanings. Furthermore, such work is a mission and a question whether the value of the traditional ceramics is valid for the modern ceramics. The form of shoes, head, hands, mask for dive and machines which he has studied for a long time completes one modern monument. The art works covered with engobe emphasize cyanidation. Unlike the past when the materials were precious and the art works were emphasized only on white basis, Kim Jeongbum's cyanidation shrouds the shape tightly and the blue face traditionally.

His work is divided into three major divisions. Firstly, he has been working with the shoes as a subject for a long time. For him, the shoes are man and woman and at the same time they symbolize modern civilization. That is, the shoes are rather closer to be a scenery of modern society than a product. He talks about 'relationship' in a way of listing or stacking the shoes which are very close to human's activities. Secondly, he expresses imaginary world through the figure of deformed animals and the partly omitted body. It is meant to grant human animal nature and the most primitive truth, love and benevolence harmony at the same time. Recently his work's subject is about head. Starting with the whole body of a child in the beginning, it gradually goes to abnormally huge head of a child, and to abstractly expressed head. He represents rationality, existence, and identity of human through the head of human.

 

 

Education


1988 M.F.A. in Ceramic Art, Hongik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1985 B.F.A. in Ceramic Art, Hongik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1990~1993 Ecole National Superieur des Beux-Arts de Paris

Selected Exhibitions


Uploading soon

 

 

 

 

 


 

​中文

 

金正範的作品不局限于传统的青花瓷。他的青花瓷既有传统色彩,又有穿越东西方的界限。将一个传统的纹样融为一体、没有界限,创造出独特的作品。这正如他将内涵丰富的传统纹样拆解开来。他的作品提出了一个疑问:在现代陶艺中,传统陶艺是否仍具有价值?他多年研究了鞋子、头像、手、浮潜面罩和机械等形象,是现代艺术的里程碑。使用化粧土的作品使青花瓷相得益彰。过去由于材料昂贵,只能创作白色坯体,用青花釉来强调一小部分。但现在金正範的作品涂满青花釉,甚至创造出蓝色的脸。

金正範的作品世界大体可分为三类。首先, 他一直都是以鞋子为主题进行创造的。 鞋子不仅代表男女也是现代文明的象征。他的鞋子不是单纯的物品,而是反映现代社会的载体。他通过和人类生活有着密切关系的鞋子铺在地上或堆积的方式来表达“关系”。其次,通过改变动物的形状或省略身体的某一部分描述想象中的世界。他的作品体现出人类原有的动物本能,同时具有恢复其他本能——真理、爱情、慈爱及和谐的意义。他的最新作品的主题是头像。他的作品经历了从儿童的身体到异常巨大的儿童头像,再到抽象头像的过程。金正範通过人的头像表达理性、现实和人类的认同感。

 

 

 

 

 

 

 

​日文

 

キムチョンボムの染め付けは伝統から外れている。彼の作品は伝統文様を基にしながらも、洋の東西を問わず、自由な表現ができるのが特徴である。伝統文様は一つのパターンとして使用され、警戒なくお互いに交じる。まるで作家が多様な意味に入れた伝統文様を解体するように見える。これは伝統陶芸の価値が現時も有効かどうかに対する質問であり、課題だ。彼が長い間、関心を持ってきた靴と頭、手、潜水マスクや機械などの形状は一つの現代的なモニュメントになる。化粧掛けを施した作品は酸化コバルトの色をもっと強調する。昔は顔料が高かったため、陶磁器の表面はおもに白色だったが、作家の造形はぎっしりと覆い、従来にはすべて青くなる。

彼の作品世界は、大きく三つに分けることができる。まず長い間、彼は靴をテーマに作業してきた。彼にとって靴は男であり、女である、同時に現代文明を象徴する。これはものではなく現代社会を見せてくれる風景といえる。作家は人の活動に非常に密接な関係を持っている靴を、並んだり重ねたりすることを通して'関係'について言う。次は、変形された動物の姿と部分的に省略された身体の姿を通じて、想像の中の世界を表す。これは人間に動物性を付与するともに最も原初的な真理である愛と慈愛、和合などを回復させようとする意味を盛り込んでいる。最近、彼の作業は頭をテーマにする。子どもの身を皮切りに、異常に大きくなる頭、そして抽象化された頭へと変わって行ってる。作家は人の頭を通じて理性と実存、アイデンティティを表する。

 

 

 

 

 

 

 

 

김정범의 청화는 전통의 연장선에서 벗어난다. 그의 청화는 전통문양을 껴안고 있으면서도 동서양을 경계 짓지 않는 자유로운 표현 위에 놓여있다. 전통문양은 하나의 패턴으로 사용되며 경계 없이 서로 뒤섞인다. 이는 마치 작가가 다양한 의미를 담았던 전통문양들을 해체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는 전통도예의 가치가 오늘날의 현대도예에도 유효한가에 대한 물음이자 과제다. 그가 오랜 시간 천착해왔던 신발과 두상, 손, 잠수마스크와 기계 등의 형상은 하나의 현대적 모뉴먼트를 이룬다. 화장토로 분장한 작품들은 푸른 청화를 더욱 강조한다. 귀한 재료 탓에 백색의 바탕을 강조해야만 했던 옛날과 달리 김정범의 청화는 조형을 빼곡하게 뒤덮으며 종래에는 파란 얼굴을 감싼다.

 

그의 작품세계는 크게 세 갈래로 구분된다. 그는 오랫동안 신발을 주제로 작업해왔다. 그에게 신발은 남자이며 여자고, 동시에 현대문명을 상징한다. 이때 신발은 물건이라기보다 현대사회를 보여주는 풍경에 가깝다. 작가는 인간의 활동과 매우 밀접한 신발을 바닥에 나열하거나 쌓아올리는 등의 모습으로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두 번째로 변형된 동물의 모습과 부분적으로 생략된 신체상의 모습을 통해 상상속의 세계를 표현한다. 이는 인간에게 동물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가장 원초적인 진리, 사랑과 자애로움 화합 등을 회복시키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의 가장 최근 작업은 두상을 주제로 한다. 초기에는 어린아이의 전신을 시작으로 점차 비정상적으로 거대한 어린아이의 두상, 그리고 추상적으로 표현된 두상으로 나아간다. 작가는 인간의 두상을 통해 이성과 실존, 인간의 정체성을 나타낸다.

 

 

 

Yuna Hwang(Editor), Naina Kim(Eng), Soojung Lee(Cn), Hyeseon Park(Jpn)

 

<Korean Ceramic Artists Archive> Jan·Feb 2018

 

 

 

 

'Art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e HyunBae  (0) 2018.10.24
Lee Hyemi  (0) 2018.10.24
Yoon Sanghyuk  (0) 2018.10.24
Kim Hansa  (0) 2018.10.24
Kang Junyoung  (0) 2018.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