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호는 동물에게서 우리의 모습을 발견하고 이야기로 풀어내는 작가이다. 그는 관찰자이자 당사자의 시선으로 동시대를 살아가는 동물과 인간의 동질성을 기민하게 포착한다. 인간과 공존하는 동물은 원치 않게 정해진 좁은 공간을 배회하며 스트레스를 겪곤 한다. 때로 규격화된 틀에 자신을 맞춰야 해서 괴로워하기도 하고, 사랑을 표현하기 위해 구애의 뜻을 담은 선물을 주고받기도 한다. 작가는 영상이나 신문 등의 매체를 통해 채집한 시선을 작품에 담아낸다. 동물의 외형을 빚고, 섬세하게 털 등을 그리거나 붙이고, 그 안에 동물이 꿈꾸는 자연을 상상하며 그려넣는다.
작가는 우연히 동물원에 갇힌 동물 영상을 보고 자신과 닮았다고 느낀 데서 동물을 주제로 한 작업을 시작하게 됐다. 스트레스를 받은 동물이 반복적으로 과잉 행동을 하는 것을 ‘정형행동’이라고 한다. 동물들도 인간처럼 정신적 고통을 느끼면 몸의 행동으로 나타난다. 정형행동을 하는 동물 중 처음 접한 것은 곰이었다. 찾아보니 코끼리, 하마는 물론 벨루가나 타조와 같은 동물들도 정형행동을 했다. 이를 보며 그는 정형행동을 하는 동물들이 자연을 안식처로 마음에 품고 살아가는 모습을 상상했다. 「우리」 연작에서 그는 동물의 내면을 보여주듯 반으로 나뉜 몸의 단면에 숲을, 나무를, 물을 세밀하게 그려냈다.
“개인전 제목을 <우리>라고 했다. ‘우리’에 갇힌 동물은 ‘우리’와 같은 생명체이다. 동물은 사람과 같이 고통과 쾌락, 만족을 느낀다. 일부 동물은 사회 생활을 하는 등, 많은 부분에서 사람과 비슷하다. 우리에 갇혀 스트레스를 받아 정형행동을 하는 동물들과, 사회라는 틀에 갇혀 스트레스를 받아 정신 질환을 겪는 사람들. 사람들이 편안한 집을 마음에 품고 살아가는 것처럼 동물원 동물도 사람과 다를 것 없이 편안한 자연을 마음에 품고 있지 않을까. 동물원 동물들의 환경 개선이 이루어지길, 더불어 사람들이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길 바란다.”
정형 행동이라도 잠만 자는 행위 보다는 낫다. 활동을 통제당한 채 무기력하게 잠든 동물의 모습에서 작가는 수면 장애를 겪는 사람들을 발견한다. ‘고통스럽게 무기력한 현실을 외면하기 위해 잠으로 도피하는 모습은 삶과 죽음 사이의 경계에 놓인 듯하다’고 그는 말한다. 「경계」 연작은 눈을 감고 웅크린 동물의 형태를 하고 있다. 단면에 그려진 자연이 꼭 닿을 수 없는 안식처 같다. 때로 서로 공존하기 위해 사람은 새의 날개 끝을 자른다. 「102, 703」에 묘사된 새는 ‘윙컷’을 한 채이다. 비행깃을 잘린 새는 장거리를 날지 못한다. 이 모습이 꼭 ‘꿈을 재단당한 채 틀에 갇혀 살아가는 사람들’ 같아서, 새를 주제로 한 작업에는 꿈을 되찾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올해 첫 개인전을 마친 김지호는 숭의여대에서 주얼리를 전공했다. 본격적으로 도예의 길에 들어선 것은 동덕여대 디지털공예과로 편입해 도자를 전공하면서이다. 금속을 전공할 때에도 동물을 주제로 작업하는 것을 좋아했던 그는 학부 때 동물의 형상을 만들고 안쪽에 그림을 그리는 현재의 형태를 완성했다. 동물 작업을 하며 금속과 도자를 모두 다뤄본 경험을 작품에 녹여내기도 했다. 「해피」는 도자로 만든 강아지 본체에 왁스 카빙으로 주물을 뜬 새싹의 형태를 결합한 작품이다. 또한 도자 작품의 형태에 따라 받침대를 금속으로 만들어 조합하기도 했다. 처음에는 도자와 금속을 에폭시나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사용해 결합하다가, 금속 봉 형태로 용접해 끼웠다 뺄 수 있도록 탈착 방식을 개선했다.
학부 졸업 후 작업을 계속하기로 결정하면서 작가는 동 대학원 도자공예디자인 석사 과정에 진학했다. 대학원 시기 작업한 「조약돌」은 펭귄을 모티브로 한 작품이다. 펭귄의 한 종류인 아델리 펭귄은 가장 예쁜 조약돌을 주며 구애한다고 한다. ‘사랑이 형태가 있다면 펭귄의 조약돌 모양이지 않을까’라는 데서 착안한 작업으로, 사랑의 증표로서 조약돌의 형태에 펭귄의 발을 달아 표현한 작품이다. 기면에는 사랑에 관한 꽃말을 가진 꽃이나 보석 등 사회적으로 다양한 사랑의 상징을 묘사했다.
작업 과정에서 여러 시도를 거쳐 현재 그는 페이퍼클레이를 주 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백토 소지는 상황에 따라 갈라짐 등의 문제가 있어, 여러 재료를 사용해본 뒤 결과적으로 페이퍼클레이에 정착하게 됐다. 페이퍼클레이는 동물의 털을 세밀하게 표현하는 데 용이할 뿐더러, 작품 건조 도중에 털이 탈락하는 등의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작업 순서는 동물의 외형을 전체적으로 만들고 난 뒤, 속을 파내고 겉을 긁어 털을 표현한다. 동물의 크기에 따라 일일히 털을 붙여서 표현하기도 한다. 기면의 그림은 초벌 후 그려넣는데, 안료에 물을 타서 농담을 조절한다. 재벌하면 안료가 많이 날아가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상회로 부분부분 덧그리는 방식을 사용한다.
석사를 졸업한 뒤 김지호는 「우리」에 이어 더 많은 동물을 만드는 중이다. 지금은 고릴라를 모티브로 하나의 동물이 보여주는 여러 행동을 표현하고, 하나 하나가 완결된 작업으로 보일 수 있도록 고민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큰 동물원을 만들어 전시하는 것이 목표예요.” 또 틈틈이 화병 등 용도가 있는 작품을 시도하기도 하고, 반려 동물을 주제로 한 클래스도 기획하고 있다. 클래스에는 오랫동안 강아지를 키우면서 느꼈던 마음을 담았다. “작업 초반에는 동물과 사람은 같은 존재라고 생각했는데, 작업을 하면 할 수록 동물과 사람은 다르다고 느껴져요.” 다름을 서로 인정하고 공존을 모색하는 작가의 말에서 동물을 그 자체로 존중하는 마음이 엿보였다.
올해 그는 작업을 지속하며 더 많은 공모에 지원할 계획이다. 김지호는 그간 여러 공모전에서 입상한 바 있다. 최근 개인전에서 선보인 「우리」 연작은 올해 미노국제도자공모전에 입선해 현재 일본에서 전시 중이다. 2023년에는 「102, 703」 새장 작업으로 익산공예대전, 「조약돌」 작업으로 Aveiro’s biennale에 입상했다. 학부 때 만든 동물 작품으로 2021년 경기도자비엔날레에서 입선하기도 했다. 동물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을 바탕으로 그가 앞으로 만들어갈 작품 세계를 기대해 본다.
김기혜 독립 큐레이터
월간도예 2024년 11월호
'No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용, 손으로 빚는 목가적 미감 (Dec 2024) (1) | 2025.02.10 |
---|---|
조연예, 도자 정물로 그리는 풍경 (Oct 2024) (0) | 2025.02.10 |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 (Sep 2024) (6) | 2024.10.06 |
류호식, 안온하고 평안한 집 (Aug 2024) (0) | 2024.08.08 |
박래기, 물질을 들여다보는 힘 (Jul 2024) (0) | 2024.08.08 |